티스토리 뷰

반응형

네이버에서 숏폼 크리에이터 2기를 모집하고 있어요. 네이버 초창기 인플루언서 모집도 그때와 지금을 비교하자면, 처음에는 비교적 수월했지만, 지금은 1년~2년 고생하고 노력해도 쉽지 않다는 사실 알고 계시죠? 네이버에서 쑥쑥 키워주고 있는 숏폼 크리에이터도 분명 그럴 거예요. 네이버 모먼트를 만들려고 하는데 음악이 안 들어가니깐 심심하고 재미없죠? 네이버 모먼트 음악 넣는 방법을 그대로 따라만 하면 되게 알려드릴게요.

 

 

 

네이버 모먼트 음악 넣는 방법

 

1. 유튜브 쇼츠와 인스타그램 릴스는 있는 음악 중에 골라 쓰는 게 가능하죠. 하지만 네이버에는 저작권 때문인지, 편집 화면에서 음악을 삽입하는 기능이 없어요.

 

2. 갤럭시 핸드폰에서 설명드릴게요. 갤럭시 휴대폰 자체에 있는 편집기능을 사용해야해요. 핸드폰에서 갤러리에 찾아 들어갑니다. 

 

 

핸드폰 사진 모음 화면

 

 

 

3. 갤러리에 들어간 화면입니다. 동영상중에 원하는 만큼의 동영상을 꾹~눌러주면 선택이 됩니다.(하나도 가능하고 여러 개도 가능합니다)

 

4. 가장 아래 부분으로 내려가면 파란색으로 표시된 만들기를 찾으셨죠? 이 만들기를 다시 눌러줍니다.

 

 

 

 

 

5. 영화 보이시죠? 영화를 눌러서 들어가면 오른쪽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저는 동영상 1개를 선택해서 7초짜리 동영상이 보이고요. 그 화면 가장 아랫부분에는 ♪ 표시가 보이시죠? ♪ 를 눌러서 들어갑니다.(이 화면에서 재생버튼을 눌러서 이미 저장된 동영상에서 나는 소리 확인이 가능해요.)

 

 

 

 

6. 여기서 주의할점은 전체 동영상 음량은 소리를 가장 작게 해 줍니다. 안 그러면 나중에 동영상자체 소리와 음악소리가 들리거든요. 

 

전체 동영상 음량 - 소리 가장 작게 조정

배경음악 - '추가' 버튼을 클릭해서 다음으로 이동해요.

 

 7. 배경음악으로 들어오셨나요? 갤러시 안에 있는 배경음악 중에 마음에 드는 음원을 선택해도 됩니다. 여기서 주의점은 선택을 하고는(파란 점으로 표시) 바로 배경음악이라는 글씨 앞에 있는 뒤로 가기를 눌러주면 된다는 점이에요. (이걸 모르고 늘 +로 들어가서 유료 음원만 한동안 선택했어요.) 혹시나 내 음원에 있는 음악을 설정하시려면,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8.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면 JUMP AND RUN이 배경음악으로 잘 들어왔음이 확인되죠?

 

배경음악 - 음악소리 크기 조정

전체 동영상 음량 - 하나도 안 들리게 아니면 크기 거의 안 들릴 만큼으로 조정

 

두 버튼을 모두 크기를 크게 조정해두시면, 동영상 찍을 때 담겼던 소리와 음악소리가 함께 들려서 매우 신경 쓰이는 동영상이 만들어집니다. 물론 적당히 조절해야 할 때도 있으니, 조정해서 사용하세요.

 

이 작업이 끝나고, 저장으로 가기전에 화면재생하기를 먼저 꼭 듣고 보고 가세요. 저장한 다음에는 되돌릴 수 없으니, 꼭 확인하고 저장하시는걸로요.

 

 

 

9.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동영상 저장중이 나타납니다.

 

10. 다시 갤러리 화면에 들어가면, 이제는 음원이 담긴 동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게 됩니다.

 

 

 

네이버 숏폼 크리에이터

 

최근에 유튜브의 숏츠, 인스타그램의 릴스, 틱톡 처럼 사람들이 쉽고 빠르게 볼 수 있는 짧으면서 강렬한 영상들을 선호하고 있죠? 그래서 네이버에서도 숏폼 크리에이터를 모집하고 있어요. 활동비는 총 5억이지만, 한 명의 참여자에게는 인당 10만 원. 물론 활동비가 큰 금액은 아니지만, 대세의 장에 일찍 올라타는 게 나중에 뒤늦게 따라가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다는 사실!! 경험적으로 터득하게 되었어요. 네이버 모먼트 음악 넣는 거 가능해졌으니, 이제는 도전해 볼만합니다!

 

모집기간 : 2024년 1월 14일 자정까지

결과발표 : 20214년 1월 24일 - 이메일로 안내됩니다.

활동기간 : 2024년 2월 1일 ~ 6월 30일

주요활동 : 매월 10건의 숏폼 콘텐츠 업로드

제공내역 : 월간 활동 기준을 충족한 전원에게 매월 네이버페이 포인트 10만원 지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