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0년간 한국 미국 중국 홍콩 인도 베트남 주가지수 비교: 어디에 투자할까?

해놀 2024. 12. 24. 09:33
반응형

지난 10년 동안 세계 주요 주가지수는 각국의 경제 상황, 정책 변화, 글로벌 이슈에 따라 큰 변동을 보여왔어요. 이번 글에서는 한국의 코스닥(KOSDAQ)과 코스피(KOSPI), 미국의 S&P 500과 다우존스(Dow Jones), 중국의 심천종합(Shenzhen Composite)과 상해종합(Shanghai Composite), 홍콩의 항셍(Hang Seng), 일본의 니케이 225(Nikkei 225), 베트남의 하노이 지수(HNX), 그리고 인도의 센섹스(SENSEX)의 10년간 변동을 살펴보고 투자에 가장 유리한 시장을 분석해보려고 해요. 10년 동향 그래프를 한눈에 보면서, 과연 어떤 시장에 투자하는 게 가장 매력적 일지 살펴볼게요.

출처 : 네이버

1. 한국: 코스닥과 코스피

한국의 코스피는 대형주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줬지만, 글로벌 금융 위기와 팬데믹 등의 영향을 받아 2010년대 중반까지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어요. 반면, 코스닥은 기술주 중심으로 더 큰 변동성을 보였으며, 특히 바이오와 IT 산업의 성장에 따라 상승폭이 두드러졌고요. 결론적으로는 10년간 코스피는 연평균 약 5%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코스닥은 이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출처 : 네이버

2. 미국: S&P 500과 다우존스

미국의 S&P 500과 다우존스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하며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시장으로 자리 잡아오고 있어요. 특히 S&P 500은 기술주와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팬데믹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연평균 약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여주었고요. 다우존스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대형 기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보수적인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해요.

 

10년 동향 그래프를 보면 물론 내려가는 시점도 있지만, 꾸준한 상승을 해나가고 있는 모습이네요. 이래서 미국에는 연금 억만장자가 있다는 이야기가 있나봅니다.

 

* 미국연금 백만장자의 비밀 알고계시나요?

 

 

*S&P 500에 투자하는 방법 

 

 

출처 : 네이버

 

3. 중국: 심천종합과 상해종합

중국의 심천종합지수는 기술주와 중소형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높은 변동성을 보입니다. 상해종합지수는 대형 국유기업 중심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지만, 미통 무역 전쟁과 같은 외부 요인에 민감한 모습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고요. 지난 10년간 두 지수 모두 연평균 5~6%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성장세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줘서 투자하는 사람들이 이 부분을 우려하고 있어요.

 

10년 전쯤 높은 곳에서 중국주식을 매수하신 분들은 여전히 마이너스 이긴 하겠어요.

 

 

출처 : 네이버

4. 홍콩: 항셍 지수

항셍 지수는 중국 본토와의 경제적 연관성으로 인해 민감한 움직임을 보여왔어요. 10년간의 변동성은 높았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는 다소 제한적인 매력을 보여주었고요.

 

5. 일본: 니케이 225

일본의 니케이 225는 아베노믹스 정책과 엔화 약세로 인해 2010년대 중반 이후 강한 상승세를 보여왔어요. 특히 글로벌 제조업체와 기술기업의 성장 덕분에 연평균 약 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놀랍네요. 

 

일본이 경제 침체기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서, 10년 동안 이렇게 꾸준히 성장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알게 되었네요.

 

 

*일본 엔화 하락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출처 : 네이버

 

6. 베트남: 하노이 지수(HNX)

베트남의 하노이 지수는 신흥 시장으로서의 매력을 보여주며, 지난 10년간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어요. 연평균 약 12%의 성장률로, 다른 지수 대비 높은 수익률을 보였지만, 변동성이 큰 점은 유의해야겠죠?

 

베트남의 하노이 지수, 인도의 SENSEX의 10년 동향을 보니, 왜 신흥국에 투자를 권하는지도 이해가 가네요. 저두 신흥국투자가 매력적이라는 점에서 일부분은 신흥국투자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7. 인도: SENSEX

인도의 센섹스는 경제 성장과 IT, 금융 산업의 확대로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왔어요. 지난 10년간 연평균 약 1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신흥국 중 가장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줬어요.

 

앞으로는 어떻게 될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결론: 어디에 투자할까?

안정적인 성장을 원한다면 미국의 S&P 500과 다우존스가 유리하며, 높은 수익률을 기대한다면 베트남의 하노이 지수와 인도의 센섹스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죠? 그럼 한국은요? 한국의 코스닥은 기술주 중심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지만 변동성이 크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투자 결정은 각국의 경제 상황과 개인의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신중히 해야 하고, 모든 투자의 손실은 본인이 책임을 지셔야 한다는 사실 생각하고 계세요! 

반응형